이탈리아 공화국 (1802년~180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공화국은 프랑스 제1통령 나폴레옹의 지배 하에 1802년부터 1805년까지 존재했던 국가이다. 이전의 치살피나 공화국을 계승하여 롬바르디아와 로마냐를 중심으로 384만 명의 인구를 가진 12개의 데파르트망으로 구성되었으며, 밀라노가 수도였다. 나폴레옹은 대통령으로, 프란체스코 멜치 데릴이 부통령으로 임명되었으며, 1803년에는 가톨릭을 국교로 하는 정교 조약을 체결했다. 이탈리아 공화국은 1805년 나폴레옹이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 되면서 이탈리아 왕국으로 개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2년 설립 - 생시르 사관학교
생시르 사관학교는 1802년 나폴레옹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 육군 사관학교로, 프랑스 육군 장교를 양성하며 다양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하여 복무한다. - 1802년 설립 - 미국 육군사관학교
미국 육군사관학교는 1802년 설립된 뉴욕주 웨스트포인트 소재의 육군 사관학교로, 4년제 학사 학위 과정을 통해 육군 소위 임관 자격을 부여하며, 역사적으로 저명한 지도자들을 배출하고 "의무, 명예, 국가"라는 모토로 대표되는 강한 전통을 지닌다. - 1805년 폐지 - 시에라리온 달러
시에라리온 달러는 1791년에 발행된 동전으로, 앞면에 사자, 뒷면에 악수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으며, 1 센트와 1 페니는 청동, 나머지는 은으로 제작되었다. - 1805년 폐지 - 피옴비노 후국
피옴비노 후국은 1399년 아피아니 가문에 의해 건국되어, 외세의 침략과 간섭을 받다가 1634년 멸망 후 여러 가문을 거쳐 나폴레옹 시기에 루카 및 피옴비노 공국에 편입되었다. - 이탈리아의 통일 - 리소르지멘토
리소르지멘토는 19세기 이탈리아의 통일 과정을 의미하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민족 의식 고취와 통일 열망 증대, 나폴레옹 전쟁 시기 이탈리아 민족주의 성장, 사르데냐 왕국 중심의 통일 운동을 거쳐 이탈리아 왕국 건국으로 이어졌으나, 로마 문제와 지역 갈등, 이레덴티즘 등의 과제를 남겼다. - 이탈리아의 통일 - 주세페 베르디
주세페 베르디는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로,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열망을 담은 오페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 《아이다》, 《오텔로》, 《팔스타프》 등의 대표작과 《레퀴엠》을 남겼고 이탈리아 통일 왕국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이탈리아 공화국 (1802년~1805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일반 정보 | |
통칭 | 이탈리아 |
공용어 | 롬바르드어 에밀리아-로마냐어 이탈리아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시대 | 나폴레옹 전쟁 |
지위 | 프랑스의 자매 공화국 |
수도 | 밀라노 |
데모님 | 이탈리아인 |
역사 | |
시작 | 1802년 1월 26일 |
시작 사건 | 리옹에서의 국민 회의 |
이전 | 1801년 2월 9일 |
이전 사건 | 뤼네빌 조약 |
종료 | 1805년 3월 17일 |
종료 사건 | 군주제 선포 |
선행 국가 | 치살피나 공화국 |
![]() | |
선행 국가 2 | 쉬발핀 공화국 |
후행 국가 | 이탈리아 왕국 |
기 | |
![]() | |
깃발 | 나폴레옹 이탈리아의 깃발 |
문장 | |
문장 종류 | 상징 |
![]() | |
문장 문서 | 나폴레옹 시대 이탈리아의 문장 |
정치 | |
정치 체제 | 대통령 공화국 |
대통령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대통령 재임 기간 | 1802년–1805년 |
부통령 | 프란체스코 멜지 데릴 |
부통령 재임 기간 | 1802년–1805년 |
입법부 | 입법 기관 |
통화 | |
통화 | 밀라노 스쿠도 리라 솔도 데나로 |
기타 | |
ISO 3166 코드 | 생략 |
2. 역사
이탈리아 공화국은 치살피나 공화국이 나폴레옹을 대통령으로 맞이하기 위해 헌법을 변경하면서 탄생했다. 새 헌법에 따라 국명은 "이탈리아 공화국"으로 바뀌었으며, 영토는 이전과 동일하게 롬바르디아와 로마냐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탈리아 공화국은 42500km2가 넘는 영토와 384만 명의 인구를 가진 12개의 데파르트망으로 구성되었다. 밀라노는 수도이자 주요 중심지였으며, 1764년 당시 124,000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이 나라는 오랜 기간 동안 약탈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번영을 누렸다. 경제는 곡물 농업과 가축 사육을 기반으로 하였고, 실크 생산과 같은 소규모 산업도 발달했다.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기는 이탈리아-밀라노 국기의 세 가지 색상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패턴을 사용했다. 1802년 5월 13일 법령으로 문장이 제정되었으며, 산마리노 공화국과는 우호 통상 조약을, 성좌와는 정교 조약을 체결했다.
정부는 이탈리아 국가 방위군, 국가 헌병대, 재정 경찰을 창설하고, 미터법을 도입했으며, 국가 통화 발행을 계획했으나 실제로 발행되지는 않았다.
1805년,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가 되면서 이탈리아 공화국은 이탈리아 왕국으로 바뀌었고, 나폴레옹은 왕, 그의 의붓아들 외젠 드 보아르네는 부왕으로 임명되었다.
2. 1. 성립 배경
이탈리아 공화국은 프랑스 제1통령 나폴레옹이 대통령이 될 수 있도록 헌법을 변경한 치살피나 공화국의 후계 국가였다. 새 헌법은 국명을 "이탈리아 공화국"으로 변경했으며, 주로 롬바르디아와 로마냐를 포함하여 치살피나 공화국을 구성했던 동일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1] 1802년 1월 26일, 치살피나 공화국 대표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1] 부통령에는 밀라노 귀족인 프란체스코 메르치 데릴|Francesco Melzi d'Eril영어이 임명되었다.[3]
2. 2. 발전
이탈리아 공화국은 42500km2가 넘는 영토에 12개의 데파르트망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구는 384만 명이었다. 수도는 밀라노였으며, 1764년 기준 124,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주요 중심지였다. 이 나라는 수세기 동안 약탈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번영했다. 경제는 곡물 농업과 가축 사육을 기반으로 했으며, 특히 실크 생산과 같은 소규모 산업이 발달했다.[1]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기는 이탈리아-밀라노 국기의 세 가지 색상을 유지했지만, 덜 혁신적인 새로운 패턴을 사용했다. 문장은 1802년 5월 13일 법령으로 명시되었다. 1802년 6월 10일에는 산마리노 공화국과 우호 통상 조약을 체결했고, 1803년 9월 16일에는 성좌와 정교 조약을 체결했다.[1]
정부는 이탈리아 국가 방위군, 국가 헌병대, 재정 경찰을 창설했으며, 미터법을 도입했다. 국가 통화 발행이 계획되었지만, 공화국 시대에는 발행되지 않았다.[1]
1803년 9월, 이탈리아 공화국은 가톨릭을 국교로 정하는 동시에 신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주교 임명권을 국가가 갖는다는 내용의 정교 협약을 교황과 체결했다.[3]
1802년 7월 법령으로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지방 행정 제도를 현(県)·군(郡)·코무네로 나누는 조치가 취해졌다.[3] 1802년 8월에는 징병제가 제정되었다.[3]
2. 3. 외교 관계
이탈리아 공화국은 1802년 6월 10일 산마리노 공화국과 우호 통상 조약을 체결했으며,[1] 1803년 9월 16일 성좌와 정교 조약을 체결했다.[1] 이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공화국은 가톨릭을 국교로 인정하면서도 신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주교 임명권을 국가가 갖도록 했다.[3]2. 4. 군사 제도
1802년 8월에 징병제가 제정되었다.[3]2. 5. 종말
1805년, 보나파르트가 프랑스 황제 칭호를 얻은 후, 이탈리아 공화국은 이탈리아 왕국 (''Regno d'Italia'')으로 변모했으며, 나폴레옹은 왕으로, 그의 의붓아들 외젠 드 보아르네는 부왕으로 임명되었다.[1] 나폴레옹은 1804년에 프랑스 황제 대관식을 거행했고, 1805년 5월 26일에 밀라노 대성당에서 이탈리아 왕 대관식을 거행하여 이탈리아 공화국은 폐지되고 이탈리아 왕국으로 개편되었다.[1]3. 정치
1802년 이탈리아 헌법에 따르면 주권은 소유주 위원회(''il Collegio dei possidenti''), 학자 위원회(''il Collegio dei dotti''), 상인 위원회(''il Collegio dei mercanti'')라는 세 개의 선거 위원회에 있었다. 이 위원회들은 밀라노(소유주 위원회), 볼로냐(학자 위원회), 브레시아(상인 위원회)에 각각 위치했다. 모든 위원회는 크레모나에 기반을 둔 21명 위원의 검열(''la Censura'')이라는 통제 및 최고 통치 위원회를 선출했다.[3]
국가 원수는 10년 임기의 공화국 대통령(''i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였다. 대통령은 행정 권한을 가졌으며, 부통령과 국무장관을 임명하고, 입법 및 외교를 주도하고, 장관, 공무원, 대사, 육군 사령관을 선택하고, 집행 위원회를 소집하고, 예산을 준비했다. 부통령 프란체스코 멜치 데릴은 대통령 부재 시 대통령을 대행했다. 멜치는 공화국 존속 기간 동안 국내 문제를 통치했으며, 나폴레옹에게 굴복하지 않아 왕정 선포 후 교체되었으나, 프랑스 제국 시대 동안 나폴레옹의 존경을 받았다. 멜치는 이탈리아에 의무 징병제를 도입했다.[3]
콘술타(''la Consulta di Stato'')는 대통령이 이끄는 8인 위원회로, 외교 정책을 담당했다. 위원들은 세 위원회 지명으로 검열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치살피나 공화국 총재 정부의 전 구성원 다수가 직무에 들어갔다. 콘술타는 조약 비준, 국가 안보 관련 특별 법령 승인, 대통령 사망 또는 사임 시 후임자 임명 등의 권한을 가졌다. 외무부 장관은 위원 중에서 선택되었다.[3]
입법 위원회(''il Consiglio legislativo'')는 대통령이 3년 임명하는 최소 10명 위원회였다. 위원회는 대통령의 법안 제출을 돕고, 법률 제정에 참여하며, 법안이 의회에서 논의될 때 참석했다.[3]
국무장관(''il segretario di Stato'')은 행정부 수장이었다. 그는 법률 공포, 국가 인장 보관, 대통령 행위 서명 등의 역할을 했다. 초대 국무장관은 디에고 구이차르디였으며, 펠레그리노 노빌리와 루이지 바카리가 뒤를 이었다.[3]
정부는 7명의 장관(''i ministri'')으로 구성되었다. 전쟁부 장관은 알레산드로 트리불지, 이후 도메니코 피노 장군이 맡았다. 내무부 장관은 루이지 빌라, 이후 다니엘레 펠리치가 맡았다. 외무부 장관은 페르디난도 마르스칼키, 법무부 장관 겸 대법관은 보나벤투라 스파노키, 재무부 장관은 안토니오 베네리, 재무부 장관은 주세페 프리나, 종교부 장관은 조반니 보바라였다. 정부는 국가 회계 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예산을 수립했다.[3]
공화국 의회는 제한된 권한을 가진 입법부(''il Corpo Legislativo'')였다. 의회는 각 부서에서 세 위원회가 선출한 75명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의회는 대통령이 소집했으며, 법률 승인 또는 거부만 가능했고, 토론은 15명 연설가로 구성된 웅변가 회의소(''Camera degli oratori'')에서 진행되었다. 리옹 회의에서 처음 임명되었으며, 의회는 2년마다 3분의 1씩 갱신되었다.[1]
법원은 1심 법원(''tribunali di prima istanza''), 항소 법원(''corti d'appello''), 재심 법원(''corti di revisione''), 대법원(''corte di cassazione'')으로 구성되었다. 처음 두 법원 판사는 콘술타가, 나머지 두 법원 판사는 세 위원회가 임명했다.[3]
3. 1. 제도
1802년 이탈리아 헌법에 따르면 주권은 소유주 위원회, 학자 위원회, 상인 위원회라는 세 개의 선거 위원회에 있었다. 소유주 위원회는 밀라노에, 학자 위원회는 볼로냐에, 상인 위원회는 브레시아에 위치해 있었다. 모든 위원회는 2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검열이라는 통제 및 최고 통치 위원회를 선출했으며, 이 위원회는 크레모나에 기반을 두었다.국가 원수는 10년 임기로 선출된 공화국 대통령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였다. 대통령은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통령과 국무장관을 임명하고, 입법 및 외교 이니셔티브를 취하고, 장관, 공무원, 대사, 육군 사령관을 선택하고, 집행 위원회를 소집하고, 예산을 준비했다. 부통령인 프란체스코 멜치 데릴은 대통령 부재 시 대통령을 대행했다. 멜치는 왕정 선포 후 더 통제 가능한 인물로 교체되었으나, 프랑스 제국 시대 동안 나폴레옹의 깊은 사적인 존경을 받았다. 멜치는 또한 이탈리아에 의무 징병제를 도입했다.[3]
콘술타는 공화국 대통령이 이끄는 8명의 위원회였으며, 외교 정책을 담당했다. 콘술타는 조약을 비준하고, 국가 안보에 관한 특별 법령을 승인했으며, 대통령 사망 또는 사임 시 후임자를 임명했다.
입법 위원회는 대통령이 3년 동안 임명한 최소 10명의 위원회였다. 이 위원회의 임무는 대통령이 법안을 제출하도록 돕고, 법률 제정에 참여하며, 법안이 의회에서 논의될 때 참석하는 것이었다.
국무장관은 행정부의 수장이었다. 그는 법률을 공포하고, 국가의 인장을 보관하며, 대통령의 행위에 서명했다.
정부는 7명의 장관으로 구성되었다. 전쟁부 장관, 내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 겸 대법관, 재무부 장관, 재무부 장관, 종교부 장관이 있었다. 정부는 예산을 수립하기 위해 국가 회계 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
공화국의 의회는 제한된 권한을 가진 입법부였다. 이 의회는 각 부서에서 세 개의 위원회가 선출한 7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이 의회는 법률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만 있었고, 토론은 더 제한적인 웅변가 회의소(15명의 연설가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진행되었다.
법원은 1심 법원, 항소 법원, 재심 법원, 그리고 대법원으로 나뉘었다.
3. 2. 국가 원수
1802년 이탈리아 헌법에 따르면 주권은 소유주 위원회(''il Collegio dei possidenti''), 학자 위원회(''il Collegio dei dotti''), 상인 위원회(''il Collegio dei mercanti'')의 세 선거 위원회에 있었다. 이 세 위원회는 2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검열(''la Censura'')이라는 통제 및 최고 통치 위원회를 선출했다.국가 원수는 10년 임기로 선출된 공화국 대통령(''i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였다. 대통령은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통령(''il Vicepresidente'')과 국무장관을 임명하고, 입법 및 외교 이니셔티브를 취하고, 장관, 공무원, 대사, 육군 사령관을 선택하고, 집행 위원회를 소집하고, 예산을 준비했다. 부통령인 프란체스코 멜치 데릴은 대통령 부재 시 대통령을 대행했다. 멜치는 왕정 선포 후 더 통제 가능한 인물로 교체되었으나, 프랑스 제국 시대 동안 나폴레옹의 깊은 사적인 존경을 받았다. 멜치는 또한 이탈리아에 의무 징병제를 도입했다.[3]

콘술타(''la Consulta di Stato'')는 공화국 대통령이 이끄는 8명의 위원회였으며, 외교 정책을 담당했다. 콘술타는 조약을 비준하고, 국가 안보에 관한 특별 법령을 승인했으며, 대통령 사망 또는 사임 시 후임자를 임명했다.
입법 위원회(''il Consiglio legislativo'')는 대통령이 3년 동안 임명한 최소 10명의 위원회였다. 이 위원회의 임무는 대통령이 법안을 제출하도록 돕고, 법률 제정에 참여하며, 법안이 의회에서 논의될 때 참석하는 것이었다.
3. 3. 정부
1802년 이탈리아 헌법에 따르면 주권은 소유주 위원회(''il Collegio dei possidenti''), 학자 위원회(''il Collegio dei dotti''), 상인 위원회(''il Collegio dei mercanti'')라는 세 개의 선거 위원회에 있었다. 소유주 위원회는 밀라노에, 학자 위원회는 볼로냐에, 상인 위원회는 브레시아에 위치했다. 모든 위원회는 크레모나에 기반을 둔 2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검열(''la Censura'')이라는 통제 및 최고 통치 위원회를 선출했다.국가 원수는 10년 임기로 선출된 공화국 대통령(''i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였다. 대통령은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통령(''il Vicepresidente'')과 국무장관을 임명하고, 입법 및 외교 이니셔티브를 취하고, 장관, 공무원, 대사, 육군 사령관을 선택하고, 집행 위원회를 소집하고, 예산을 준비했다. 부통령인 프란체스코 멜치 데릴은 대통령 부재 시 대통령을 대행했다. 멜치는 국가의 국내 문제를 효과적으로 통치하였으며, 그의 성품은 프랑스 제국 시대 동안 나폴레옹의 깊은 사적인 존경을 받게 했다. 멜치는 또한 이탈리아에 의무 징병제를 도입했다.
콘술타(''la Consulta di Stato'')는 공화국 대통령이 이끄는 8명의 위원회였으며, 외교 정책을 담당했다. 콘술타는 조약을 비준하고, 국가 안보에 관한 특별 법령을 승인했으며, 대통령 사망 또는 사임 시 후임자를 임명했다.
입법 위원회(''il Consiglio legislativo'')는 대통령이 3년 동안 임명한 최소 10명의 위원회였다. 이 위원회의 임무는 대통령이 법안을 제출하도록 돕고, 법률 제정에 참여하며, 법안이 의회에서 논의될 때 참석하는 것이었다.
국무장관(''il segretario di Stato'')은 행정부의 수장이었다. 그는 법률을 공포하고, 국가의 인장을 보관하며, 대통령의 행위에 서명했다.
정부는 7명의 장관(''i ministri'')으로 구성되었다. 각 부처의 장관은 다음과 같다.
부처 | 장관 |
---|---|
전쟁부 장관 | 처음에는 알레산드로 트리불지, 1804년부터는 도메니코 피노 장군. |
내무부 장관 | 처음에는 루이지 빌라, 1803년부터는 다니엘레 펠리치. |
외무부 장관 | 페르디난도 마르스칼키. |
법무부 장관 겸 대법관 | 보나벤투라 스파노키. |
재무부 장관 | 안토니오 베네리. |
재무부 장관 | 주세페 프리나. |
종교부 장관 | 조반니 보바라. |
정부는 예산을 수립하기 위해 국가 회계 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
공화국의 의회는 제한된 권한을 가진 입법부(''il Corpo Legislativo'')였다. 이 의회는 각 부서에서 세 개의 위원회가 선출한 7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이 의회는 공화국 대통령이 소집했으며, 법률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만 있었다.
법원은 1심 법원(''tribunali di prima istanza''), 항소 법원(''corti d'appello''), 재심 법원(''corti di revisione''), 그리고 대법원(''corte di cassazione'')으로 나뉘었다.
3. 4. 의회
공화국의 의회는 제한된 권한을 가진 입법부(''il Corpo Legislativo'')였다. 각 부서에서 세 개의 위원회가 선출한 7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의회는 공화국 대통령이 소집했으며, 법률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만 있었다. 법률 토론은 15명의 연설가로 구성된 웅변가 회의소(''Camera degli oratori'')에서 진행되었다. 리옹 회의에서 처음 임명되었으며, 의회의 3분의 1은 2년마다 갱신되어야 했다.[1]4. 행정 구역
프랑스 제도를 따라, 이탈리아 공화국은 12개의 디파르티멘티로 나뉘었다. 각 데파르트망의 장은 프리펙트(프리펙토)였으며, 1802년 5월 6일에 신설된 직책이었다.[3] 프리펙트는 중앙 정부의 행정 결정을 시행하고 지방 당국을 통제하며, 경찰 지휘를 담당했다. 지방 입법 기구는 일반 의회였으며, 코뮌 대표로 구성되었다. 정부는 일반 의회의 추천을 받아 5명 또는 7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중앙 도 행정부를 임명했다. 이 행정부는 세금 및 공공 사업에 대한 권한을 가졌고, 지역 이익을 대변했다.
데파르트망은 프랑스의 아롱디스망에 해당하는 구(디스트레티)로 나뉘었다. 구의 장은 부 프리펙트였으며, 프리펙트와 유사한 권한을 가졌지만 더 작은 지역을 관할했다. 구의 구조는 공화국 전체에서 균일하지 않았으며, 일부 구는 구 의회와 재무관에 의해 관리되었다.
구는 다시 코뮌으로 나뉘었다. 인구 3,000명 이상인 코뮌에는 시 의회가 있었고, 30명 또는 40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 의회가 선출했다. 작은 코뮌에서는 모든 과세 대상 시민이 의원이었다. 의회는 3명에서 9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된 집행 자치체를 선출했으며, 시 서기가 집행 기능을 도왔다. 모든 시의 직책은 소유주와 상인만 맡았으며, 소유주의 주도권이 보장되었다. 각 코뮌에는 세금 징수원이 있었다.
12개의 데파르트망과 그 수도, 하위 구는 다음과 같다:
데파르트망 | 수도 | 구 |
---|---|---|
아고냐 | 노바라 | 노바라 구, 비제바노 구, 도모도솔라 구, 바랄로 구, 아로나 구 |
크로스톨로 | 레조 에밀리아 | |
라리오 | 코모 | 코모 구, 바레세 구, 손드리오 구, 레코 구 |
바스포 | 페라라 | |
멜라 | 브레시아 | 브레시아 구, 키아리 구, 베롤라누오바 구, 살로 구 |
민시오 | 만토바 | 만토바 구, 레베레 구, 베로나 구, 카스틸리오네 구 |
올로나 | 밀라노 | 밀라노 구, 파비아 구, 몬차 구, 갈라라테 구 |
파나로 | 모데나 | |
레노 | 볼로냐 | |
루비코네 | 포를리 | |
세리오 | 베르가모 | 베르가모 구, 클루소네 구, 트레빌리오 구, 브레노 구 |
상포 | 크레모나 | 크레모나 구, 크레마 구, 로디 구, 카살마조레 구 |
참조
[1]
서적
北原(2008)pp.340-344
[2]
서적
北原偏(2008)付録pp.035-036
[3]
서적
北原(2008)pp.344-3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